키이스트(054780)의 2월 20일 주가가 급상승했습니다. 키이스트에 대해 어떠한 기업이며, 주식정보 및 주가 상한가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
키이스트 소개
- 영상 콘텐츠를 기획, 제작하고 다수의 글로벌 스타의 산실이 되어 온 매니지먼트를 영위하는 스튜디오 지향의 종합엔터테인먼트 회사임.
- 국내 주요 드라마 제작사 중 하나로, 넷플릭스 오리지널<보건교사 안은영>, 드라마<구경이>,<한사람만>등의 작품을 기획, 제작하며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함.
- 김서형, 김동욱, 고아성 등 한국 대표 배우들의 소속사로 문가영, 우도환, 황인엽 등 스타성 있는 배우를 발굴, 매니징 하고 있음.
- 시가총액 : 1,022억원, 시가총액순위 : 코스닥 754위
- PER : N/A, 동일업종 PER : -21.54배
키이스트 주가
2월 20일 기준 주가는 5,230원 입니다. 아래는 최근 1년간의 주가흐름입니다.
52주 최고가는 6,930원(2024-05-10), 52주 최저가는 4,030원(2025-02-19)으로 52주간 주가 상승률은 -21.4% 입니다.
▲키이스트 주식 급상승(상한가) 이유
8년 만에 중국 정부가 이르면 5월 한한령을 해제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에 중국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.
오늘의 상한가는 총 10종목이 나왔습니다. 어떤 종목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.
최근 6개월간 캔들차트 및 이동평균선입니다.
키이스트의 재무정보
2024년 매출은 682억원, 영업이익 16억원, 당기순손실 0억원을 기록했습니다. 최근 5년간 주요 재무정보입니다.
(단위 : 억원)
항목 | 2019 | 2020 | 2021 | 2022 | 2023 |
---|---|---|---|---|---|
자산총계 | 1,084 | 701 | 636 | 856 | 832 |
부채총계 | 403 | 284 | 179 | 266 | 246 |
자본총계 | 680 | 416 | 456 | 591 | 586 |
매출액 | 394 | 481 | 465 | 620 | 520 |
영업이익 | -21 | 17 | 10 | -24 | -15 |
당기순이익 | -107 | 87 | -2 | -17 | -54 |
영업이익률(%) | -5.43 | 3.47 | 2.18 | -3.87 | -2.83 |
순이익률(%) | -27.20 | 18.16 | -0.51 | -2.69 | -10.36 |
2024년 3분기 실적
키이스트의 2024년 3분기 매출은 133억원, 영업이익 1억원, 당기순이익 6억원을 기록했습니다. 키이스트의 분기별 매출 및 영업이익, 당기순이익 표입니다.
(단위 : 억원)
항목 | 23/09 | 23/12 | 24/03 | 24/06 | 24/09 |
---|---|---|---|---|---|
매출액 | 96 | 100 | 254 | 161 | 133 |
영업이익 | -4 | -3 | 7 | 4 | 1 |
당기순이익 | -4 | -53 | -12 | -15 | 6 |
영업이익률(%) | -4.53 | -3.07 | 2.68 | 2.30 | 1.11 |
순이익률(%) | -4.64 | -53.28 | -4.81 | -9.02 | 4.83 |
3분기 실적의 경우 전 분기 대비 매출은 17.39% 감소, 영업이익은 75.0% 감소했고,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8.54% 증가,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했습니다.
투자지표
키이스트의 투자지표입니다.
항목 | 2021 | 2022 | 2023 |
---|---|---|---|
EPS | -13 | -86 | -276 |
BPS | 2,519 | 3,023 | 2,999 |
CPS | 422 | 515 | -166 |
SPS | 2,621 | 3,219 | 2,661 |
PER | 0.0 | 0.0 | 0.0 |
PBR | 5.1 | 3.09 | 2.47 |
PCR | 30.44 | 18.15 | -44.71 |
PSR | 4.9 | 2.9 | 2.78 |
EV/EBITDA | 100.12 | -138.91 | -628.72 |
DPS | 0 | 0 | 0 |
현금배당수익률 | 0.0 | 0.0 | 0.0 |
현금배당성향(%) | 0.0 | 0.0 | 0.0 |
※ EPS 주당 순이익, BPS 주당 순자산, CPS 주당 현금흐름, SPS 주당 매출액, PER 주가수익비율, PBR 주가순자산비율, PCR :주가현금비율, PSR 주가매출비율, DPS 주당배당금
주당지표
EPS, BPS, SPS입니다.
가치지표
PER, PBR, PSR입니다.
본 포스팅은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며, 투자시에는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.